말은 하는 것보다 듣는 것이 중요하다..
말은 하는 것보다
듣는 것이 더 중요하다
"말은 하는 것보다 듣는 것이 더 어렵다."
이 말은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 오는 말인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그 어려움은 더욱 심하되고 있다
그만큼 생존경쟁이 심화되어 조금이라도 자기를 더 내세우지 않으면
살아 남을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화술의 대가 '라고 일컬어지는 사람은 있어도
'듣기의 대가 '라 불리는 사람은 드물다.
그러나 친밀하고 유익한 교우관계에는 반드시 잘 듣는 사람이 있다.
얼핏 보면 대화는 애기하는 사람이 주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듣는 사람이 말하는 사람이 애기하고자 하는 것을 짐작하고 호응을 해줌으로써
말하는 사람을 격려 하고,대화가 잘 이어질 수 있도록
실마리를 찾아주는 등 성실한 듣기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원할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한 화술의 대가가 오랜 대화를 끌낸 뒤
진지한 표정으로 상대방에게 이렇게 말했다.
"당신과 애기하고 있은면 참으로 즐겁습니다.
언제나 서로의 의견이 일치하니 말입니다.
그리고 당신의 풍부한 학식과 경험에 정말 감동받았습니다."
그러나 사실인즉 상대방은 오랫동안 한마디도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않고 적절한 시점에서 호응을 해주었을 뿐이다.
말하는 사람이 서로 의견을 교환했다고 믿는 것은
상대방이 자신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면 무조건 호응만 해주면 되느냐, 물론 그렇지 않다.
말하고 있을 때 상대방이 전혀 반응을 안 보이면 마치
벽과 애기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돼 금방 흥이 깨져버리지만,
그렇다고 성의 없는 맞장구로 아무 데서나 응수하는 것도 실례다
똑똑하게 말하는 사람은 상대방이 말하는 것을 열심히 듣고
온몸으로 반응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사람이 많으면 대화가 순조롭게 진행된다.
그리고 문제의 핵심을 찌르는 한마디는 대화에 커다란 활력을 제공한다.
하지만 백마디의 긴 말보다 짧은 한마디가 훨씬 힘이 있고
깊은 이해를 수반한다는 사실을 정작 말하고 있는 당사자는 알지 못한다.
반면 말하는 사람에게 귀를 기울이고,
눈과 얼굴 표정에 이해를 나타내는 사람에게 상대방은 깊은 교감을 느낀다
교제를 하면서 언제라도 사람들이 자신에게 말을 걸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청의 힘을 알고 실천해야 한다.
-좋은글 중에서-